우리말 길라잡이 맞춤법
쩨쩨하다 와 째째하다
한글 맞춤법
쩨쩨한 녀석? 째째한 녀석?
수능은 끝났고, 봄이 오면 신입생들이 많이 보이겠죠? 특히, 봄이 되면 학교점퍼를 입고 돌아다니는 학생들을 많이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예전에 병아리같던 신입생 한 무리를 이끌고(끌려갔다는 표현이 더 적절하겠지만...) 동네 호구선배로 살아가던 옛 기억에 잠시 어금니를 꽉 깨물어 봅니다.
그 병아리들이 어느 새 독수리가 되어 쪼아대던 그 시절을 생각하면 으휴...(이것들을...)
그래도 그 때는 쩨쩨한 선배로 비춰지기 싫어 대범한 척 살았습니다.
(물론 아직 살생부에 이름 석 자를 적어놓기는 했습니다.^^)
아무튼 그 때는 그랬습니다.
이번에는 ‘쩨쩨하다’와 ‘째째하다’에 대해서 얘기해 보겠습니다.
‘쩨쩨하다’는 글말로 쓰는 경우가 드물어 정작 글로 표현하고자 할 때 헷갈려하시는 분이 많더라고요.
“너무 적거나 하찮아서 시시하고 신통치 않다”, “사람이 인색하다”의 뜻을 지닌 형용사를 쓸 때는 ‘째째하다’가 아닌 ‘쩨쩨하다’를 써야 합니다.
왜 그래야 하냐고요? ‘째째하다’라는 표현은 없는 표현이니까요.
‘쩨쩨하게’ 굴지 마시고 그냥 받아들여 주세요. ^^
오늘도 도움이 되셨나요? 아름다운 우리말 재미있죠?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각 포털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구글+에서 '행복사냥이'를 검색하시면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전라남도 담양 칠월산 국립공원| 칠월산 국립공원 맞은편 데크길입니다. 나중에 방문해 보세요.^^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신공] 제00회, 제 00회? (14) | 2018.12.03 |
---|---|
[맞춤법신공] 철석? 같이 믿었는데. 철썩인가? (10) | 2018.12.01 |
[맞춤법신공] 확률, 확율 어떤 것을 사용하지? (15) | 2018.11.27 |
[맞춤법신공] 어떻게? 와 어떡해? (12) | 2018.11.26 |
[맞춤법신공] 하 - 던지 와 하 - 든지 (14) | 2018.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