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길라잡이 문장부호
쌍점 ( : )
▌쌍점보다 익숙한 콜론
대부분 컴퓨터를 다루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보통 쌍점보다 콜론이라는 용어가 더 이숙하실 것 같습니다. (저는 ‘땡땡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ㅋ)
오늘은 콜론이 아닌 쌍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장 부호의 체계
1. 마침표 : 문장의 끝맺음을 나타내는 문장 부호로 온점, 고리점, 물음표, 느낌표가 해당됨.
2. 쉼표 : 문장 부호의 하나로 반점(,), 모점('), 가운데점(ㆍ), 쌍점(:), 빗금(/)이 있는데 흔히 반점만을 말함.
3. 따옴표 : 대화나 인용하는 글이나 말 또는 강조하는 말이나 글의 앞과 뒤에 쓰는 문장 부호로 큰따옴표(" "), 작은따옴표(' '), 겹낫표(『 』), 낫표(「 」)가 있음.
4. 묶음표 : 문장 부호의 하나로 숫자, 문자나 문장, 수식의 앞뒤를 막아 딴 것과 구별을 하는 기호임. 소괄호( ), 중괄호 {}, 대괄호 [ ] 가 있음.
5. 이음표 : 앞의 말이나 문장을 뒤의 말이나 문장과 연결시킬 때 쓰는 문장 부호로 줄표 ( ̄), 붙임표(-), 물결표(~)가 있음.
6. 드러냄표 : 문장 부호의 하나로 문장 내용 중에서 중요한 부분이나 주의가 미쳐야할 곳을 특별히 드러내어 보일 때 쓰는 이름.(가로쓰기는 글자 위에, 세로쓰기는 글자 오른쪽에 찍음.)
7. 안드러냄표 : 문장 부호에서 숨김표, 빠짐표, 줄임표의 총칭
▌쌍점( : )
사례를 들어 알아보겠습니다. (“콜론”아니고 쌍점입니다.^^)
1. 표제(여러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그냥 제목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다음에 설명을 하거나 해당하는 내용을 보일 때 사용합니다.
행복 : 욕구가 충족되어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상태.
문장 부호 : 마침표, 쉼표, 따옴표, 묶음표, 이음표, 드러냄표, 안드러냄표가 있습니다.
일시 : 2018. 10. 1. 10시(2018년 10월 1일 10시)
2. 희곡이나 방송 대본에서 말하는 사람과 내용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희곡이나 방송 대본은 앞쪽은 붙여 쓰고 뒤쪽을 띄어 쓰고 나머지는 모두 띄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남자: (약간 화가 난 표정으로) 내일 만나는 약속 잊지 마.
여자: (스마트폰을 보며) 알았어.
3. 시와 분, 장과 절, 참고 문헌의 정보, 본제목과 부제 등을 구별할 때는 줄표를 대신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전 11:10(오전 11시 10분)
요한 1:1(요한복음 1장 1절)
영어와 우리말의 차이 : 어순을 중심으로 (영어와 우리말의 차이-어순을 중심으로-)
4. 의존 명사(독립하지 못하고 수식어 밑에서 형식상으로만 쓰이는 명사, 것ㆍ데ㆍ바ㆍ체ㆍ원ㆍ마리 등)가 쓰일 자리에 사용합니다.
100 : 100 (100 대 100)
한국 : 일본 (한국 대 일본)
▌핵심정리
1. 한 문장에서 주제를 설명할 때, 의존 명사가 쓰일 자리에 사용합니다.
2. 희곡이나 방송 대본에서 사람과 내용을 구분할 때 사용하는데 띄어쓰기로 구별이 가능합니다.
3. 시간이나 장, 절을 구별할 때와 부제목 줄표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너무 쉬운 내용을 말씀드려서 지루하나요? 문장 부호, 올바르게 사용하면 재미있습니다.^^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에서 "행복사냥이"를 검색하시면 글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신공] 우리말에 숨은 일본 흔적 유도리와 다대기 (28) | 2018.10.09 |
---|---|
[문장부호] 자주 사용하는데 몰랐던 빗금 (20) | 2018.10.08 |
[맞춤법신공] 꾸물꾸물과 끄물끄물 중 날씨용어? (26) | 2018.10.04 |
[문장 부호] 쉼표 중 가운뎃점(ㆍ) (26) | 2018.10.02 |
[맞춤법 신공] 외골수와 외곬수 중 올바른 표현은? (17) | 2018.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