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길라잡이 맞춤법
2019년도 오뚝이처럼 일어나자!
한글 맞춤법 길라잡이
오뚝이가 맞아? 오뚜기가 맞아?
#오뚝이처럼 일어나라.
2018년도 참 힘들게 버텼던 것 같습니다. 오뚝이처럼 일어나서, 오뚜기처럼 일어나서? 일단, 2019년은 쓰러지지 말고 항상 좋은 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오뚜기’와 ‘오뚝이’ 중 바른 표현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저희 집 한 구석에는 ‘착한 기업’으로 유명세를 탔던 ‘오뚜기 00 요리, 오뚜기 라면’이 있습니다.(개인적으로 매운 라면이 더 맛이 있는 것 같아요.^^)
여러분들도 잘 아시죠? 한 번도 안 먹어 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먹어본 사람은 없다는 그 제품. ‘오뚝이’를 회사 마크로 1969년도에 설립해 우리나라 최초의 '카레'를 선보인 식품회사 ‘오뚜기’의 대표작.
믿기 어려우시겠지만, 제가 아는 사람 중에 ‘오뚜기’라는 이름을 가진 분도 계셨습니다.(저희 직원 중에 오뚜기 부대를 제대하신 분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한동안 전 ‘오뚝이’를 ‘오뚜기’로 알고 살았습니다. 익숙했으니까요.
(많은 분들이 그럴 겁니다. 1989년 한글 맞춤법 개정 전에는 ‘오뚜기’로 표기했으니까요. 저희 직원이 말한 육군의 오뚜기 부대도 맞춤법 개정 전부터 사용해서 아직도 ‘오뚜기’로 쓴다고 하더라고요. )
아마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 중에도 ‘오뚜기가 맞는 표현 아냐?’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표준어는 엄연히 ‘오뚝이’가 맞습니다.
왜 그러냐고요?
한글 맞춤법 23항에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이렇게 나와 있거든요.
‘오뚝이’는 ‘작은 물건이 도드라지게 높이 솟아 있는 모양’이라는 뜻을 지닌 부사 ‘오뚝’에 ‘-이’이 결합된 단어입니다.
‘오뚜’+‘기’는 그 본래의 뜻이 무엇인지 이해하기가 어렵겠죠.
‘오뚜’에 뜻을 짐작하기가 힘드니까요. 쓰고 보니 왠지 프랑스어 같은 느낌이 나네요.
오뚜 ^^ 과자가 생각나기도 하고요.ㅋ
어찌되었든, 그래서 ‘오뚜기’가 아닌 ‘오뚝이’가 되는 겁니다. 이해 하셨죠?
지금의 표준어는 ‘오뚝이’ 잊지 마세요.
참고로 뿌셔뿌셔(부숴 부숴), 설레임(설렘), 케찹(케첩), 후렌치파이(프렌치파이)도 올바른 표기가 있다는 것을 잘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도움이 되셨나요? 우리말 재미있죠?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각 포털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구글+에서 '행복사냥이'를 검색하시면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수덕사 표주박| 충남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수덕사에서 표주박을 담아왔습니다. 수덕사는 백제계 사찰 중에 가장 오래된 사찰이라고 예전에 설명드렸는데 기억하시죠? 궁금하시면 링크를 눌러서 확인해 보세요.^^
2018/10/23 - [행복탐험대/다시 보는 문화 유산] - [다시보는문화유산] 수덕사와 역사 이야기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신공] 우리 밥 먹고 그리고 나서? 그러고 나서? 영화 보자. (24) | 2019.01.11 |
---|---|
[맞춤법신공] 우리가 갈 길은 멀지 않아? 머지않아? (16) | 2019.01.09 |
[맞춤법신공] 분양받을 때 필요한 것이 웃돈과 윗돈인가요? (20) | 2019.01.04 |
[맞춤법신공] 흐리멍덩한 눈빛? 흐리멍텅한 눈빛? (18) | 2019.01.03 |
[맞춤법신공] 2019년 "님"들의 행복을 기원합니다. 님? 반말아냐?ㅋ (17) | 2019.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