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길라잡이 문장부호
물음표(?)
Ι 우리말도 의문을 제기 할 수 있다.
지난 시간에 마침표 중에 온점과 고리점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어떻게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다행입니다.
오늘은 마침표 중 물음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Ι 문장 부호의 체계
1. 마침표 : 문장의 끝맺음을 나타내는 문장 부호로 온점, 고리점, 물음표, 느낌표가 해당됨.
2. 쉼표 : 문장 부호의 하나로 반점(,), 모점('), 가운데점(ㆍ), 쌍점(:), 빗금(/)이 있는데 흔히 반점만을 말함.
3. 따옴표 : 대화나 인용하는 글이나 말 또는 강조하는 말이나 글의 앞과 뒤에 쓰는 문장 부호로 큰따옴표(" "), 작은따옴표(' '), 겹낫표(『 』), 낫표(「 」)가 있음.
4. 묶음표 : 문장 부호의 하나로 숫자, 문자나 문장, 수식의 앞뒤를 막아 딴 것과 구별을 하는 기호임. 소괄호( ), 중괄호 {}, 대괄호 [ ] 가 있음.
5. 이음표 : 앞의 말이나 문장을 뒤의 말이나 문장과 연결시킬 때 쓰는 문장 부호로 줄표 ( ̄), 붙임표(-), 물결표(~)가 있음.
6. 드러냄표 : 문장 부호의 하나로 문장 내용 중에서 중요한 부분이나 주의가 미쳐야할 곳을 특별히 드러내어 보일 때 쓰는 이름.(가로쓰기는 글자 위에, 세로쓰기는 글자 오른쪽에 찍음.)
7. 안드러냄표 : 문장 부호에서 숨김표, 빠짐표, 줄임표의 총칭
Ι 물음표(?)
사례를 들어서 물음표를 설명하겠습니다.
1. 독립적인 의문을 나타낼 때 의문형 어미 뒤에 사용합니다.
지금 몇 시입니까?오늘은 어디 가세요?
그런데, 한 문장에 의문형 물음이 많을 때는 어떻게 하죠?
간단합니다. 물음이 겹치면 맨 마지막에만 물음표를 사용하면 됩니다.
맛있는 과일은 사과입니까? 배입니까? (X)맛있는 과일은 사과입니까, 배입니까? (O)
각각의 물음이 독립되어 있다면 물음마다 사용해야 합니다.
언제 만나, 어디서 만나, 누구와 만나, 왜 만나? (X)언제 만나? 어디서 만나? 누구와 만나? 왜 만나? (O)
2. 비꼬는 태도나 적절한 말을 찾지 못한 경우에도 사용합니다.
피노키오가 진실을(?) 말하네요.김씨! 참 빨리(?) 도착했네.
김대리님이 수고해(?) 주세요.
3. 불확실할 때 사용합니다.
이 도자기가 만들어진 시대(1324 ~ ?)는 고려시대일 것 같아요.
4. 직접적인 의문형 어미가 아니더라도 질문과 유사한 경우 사용합니다.
네 이놈! 이게 은혜에 대한 보답이냐?로또에 당첨되면 얼마나 좋을까?
종이로 비행기를 만든다?
양심 불량?
Ι 핵심정리
1. 물음표는 독립적인 의문을 나타낼 때 의문형 어미 뒤에 사용하고 직접적인 의문형 어미가 아니더라도 질문과 유사한 경우 사용합니다.
2. 비꼬는 태도나 적절한 말을 찾지 못한 경우, 불확실할 때 사용합니다.
오늘 도움이 되셨나요? 올바른 문장 부호 재미있죠?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에서 '행복사냥이'를 검색하시면 글을 볼 수 있어요.^^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신공] 켕기다와 캥기다, 둘 중 맞는 말은 무엇일까요? (16) | 2018.09.25 |
---|---|
[문장부호] 마침표 중 느낌표(!) (16) | 2018.09.23 |
[문장부호] 마침표 중 온점과 고리점 (26) | 2018.09.19 |
[맞춤법 신공] 돌멩이를 던져 밤 알맹이를 맞춰? (16) | 2018.09.16 |
[맞춤법 신공] 추석을 쇠다와 세다 (18) | 2018.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