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길라잡이 맞춤법
통째로와 통채로
한글 맞춤법 길라잡이
통째로 물건을 살 수 있다면 좋겠죠? ㅎ
#통째로와 통채로의 구분
지금은 세계 경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당장 우리나라 자영업 하시는 분들이 많이 힘든 상황입니다. 몇 년 전 중국인 관광객들의 방문이 한창이었을 때 명동의 한 화장품 매장에서 이렇게 주문을 한 분도 있다고 합니다.
헤이~ 싸장님 ~ "여기.. 여기.. 다..."
번역하면 “여기부터 여기까지 통째로 다 주세요.” 정말 그 통 큰 씀씀이에 일하시던 분이 깜짝 놀랐다는 기사 내용이 떠오릅니다. 정말 개인적으로 구매하신 그분은 뭘 하는 분일까 궁금하고 조금 부럽기도 합니다. “여기부터 여기까지 통째로 다 주세요.”라고 말하는 그 순간의 기분은 어떨까? “여기부터 여기까지 통째로 다 자네가 하게.”라는 말을 듣는 기분과는 다르겠죠? ^^
오늘은 ‘통째’와 ‘통채’를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쓰기 전에 지인에게 ‘통째로 주세요.’를 써보라고 했더니, 역시 제 지인은 ‘통채로 주세요’라고 당당하게 쓰더라고요. 그리고 제 얼굴을 보며 “맞지?”라고 하더군요. 예전에 고등학교 은사님 중 한 분이 화가 나시면 이런 표현을 쓰셨는데, 갑자기 그 표현이 생각납니다.
“이런 똥물에 튀겨도 시원찮을 놈!”
‘물에 튀긴다?’ 기름에 튀긴다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물에 튀긴다는 비논리적인 문장이 인상이 깊었는지 아직도 생생합니다. ‘목소리 큰 놈이 이긴다’는 속된 말처럼 이 세상에는 비논리성이 논리성을 압도하는 여러 사례가 있음을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한 지인에게 감사하며 다시 오늘 내용에 충실해야겠습니다.
‘통째’와 ‘통채’의 구분은 너무 쉽습니다. ‘째’와 ‘채’의 의미만 알면 되거든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째’는 ‘그대로’, 또는 ‘전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예) 그릇째, 뿌리째, 껍질째, 밭째, 통째
반면에, ‘채’는 ‘구분된 건물 단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예) 문간채, 바깥채, 사랑채, 안채, 행랑채
그래서 사전에 ‘통채’를 검색하시면 ‘통째’로 잘못된 표현이라고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때요? 정확한 의미를 알면 무엇이 맞는 표현인지 알 수 있죠?
제 지인과 같은 처지가 되지 않길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담아 오늘은 ‘통째’에 대해 전했습니다.^^
오늘도 도움이 되셨나요? 우리말 재미있죠?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각 포털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구글+에서 '행복사냥이'를 검색하시면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고독한 광대| 저 광대는 누구를 기다리는 것일까요? 혹시 나? 아니면 관객일까요? ㅎ 양주 별산 놀이 전수관에서 담아봤습니다.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신공] 거 봐요. 사단? 났네, 사달? 났어. (18) | 2019.01.31 |
---|---|
[맞춤법신공] 2019년?연?도 우리 모두 행복해요. (20) | 2019.01.29 |
[맞춤법신공] 아빠! 오늘 피잣집(?) 피자집(?) 가요. (12) | 2019.01.27 |
[맞춤법신공] 예전에는 한참(?) 한창(?) 일을 했는데. (18) | 2019.01.26 |
[맞춤법신공] 당신 일부러(?) 일부로(?) 그랬나요? (18) | 2019.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