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길라잡이 맞춤법
년과 연 구분하기
한글 맞춤법 길라잡이
오늘 확실하게 구분합시다. "년과 연"
#앞말에 따라 다르게 사용합니다.
날씨 뉴스에 미세먼지가 언급되는 것을 보니 이제 여름과 추운 겨울 빼고 맑은 하늘을 볼 수가 없어진 것 같아요. 지금까지 지나간 시간을 뒤돌아 보니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 생생하게 떠오르는 기억이 없습니다. 지난 연도에도 이런 느낌이었는데, 이러다 이번 2019년을 특별한 성과 없이 보내는 것은 아닌지 살짝 걱정이 앞섭니다.
오늘은 ‘연도’와 ‘년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제가 ‘이번 연도’라고 표현을 했는데요. 어떤 경우에 ‘연도’를 쓰고, 어떤 경우에 ‘년도’를 써야 할지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아 간략하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연도’는 명사입니다. ‘사무나 회계 결산 따위의 처리를 위해 편의상 구분한 일 년 동안의 기간. 또는 그 앞의 말에 해당하는 그해’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졸업 연도’, ‘제작 연도’ 등의 예시를 들 수 있습니다.
반면에, ‘년도’는 의존명사로 ‘(해를 뜻하는 말 뒤에 쓰여) 일정한 기간 단위로서의 그 해’라는 뜻을 나타내는데 ‘2019년도 출생자’, ‘2019년도 졸업식’, ‘2018년도 예산안’등의 예를 들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를 구별하는 방법으로 ‘년도’가 사용되는 경우는 특정한 어느 시기를 이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앞말이 숫자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의 예시를 봐도 아시겠지만 대개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된 앞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년도’가 ‘연도’로 표기되는 경우를 잠깐 설명하자면 ‘두음법칙’ 때문에 그렇습니다.
두음법칙은 일부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발음되는 것을 꺼려 나타나지 않거나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것을 말하는데, ‘렬사’가 ‘열사’로 발음되거나 ‘녀성’이 ‘여성’으로 ‘년도’가 ‘연도’로 발음되는 일도 이 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문법적인 내용은 머리가 아프실 것 같아서 ‘연도’와 ‘년도’에 해당하는 규정만 짧게 언급하겠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10항에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에는 ‘여, 요, 유, 이’로 적고, 단어의 첫머리가 아닐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여성, 공염불, 남존여비’와 같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는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ㅇ’으로 적습니다.
이에 따르면, ‘설립연도’, ‘이차연도’는 ‘설립’+‘년도’, ‘이차’+‘년도’의 구조로 분석되는 합성어이기 때문에 ‘설립연도’, ‘이차연도’로 적습니다.
괜히 어려운 얘기를 드렸나요? 그럼 쉽게 앞말이 숫자로 표기된 경우에는 ‘년도’를 쓴다고 아시면 됩니다.(기억하세요.^^)
오늘도 도움이 되셨나요? 우리말 재미있죠?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각 포털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구글+에서 '행복사냥이'를 검색하시면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네|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여인이 그네 타기를 기대했는데, 짓궃은 아이가 타는 그네를 빨리 가서 밀어주고 싶어 집니다.ㅎ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신공] 개거품? 게거품?을 물고 달려드는 녀석을 피했다. (20) | 2019.02.01 |
---|---|
[맞춤법신공] 거 봐요. 사단? 났네, 사달? 났어. (18) | 2019.01.31 |
[맞춤법신공] 여기부터 여기까지 통째로? 통채로? 주세요. (20) | 2019.01.28 |
[맞춤법신공] 아빠! 오늘 피잣집(?) 피자집(?) 가요. (12) | 2019.01.27 |
[맞춤법신공] 예전에는 한참(?) 한창(?) 일을 했는데. (18) | 2019.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