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길라잡이 맞춤법
으레와 으례 구별하기
한글 맞춤법 길라잡이
다들 으레 그렇듯 추억은 아름답다고 합니다.
#당연히와 으레는 같은 뜻.
“친구들과 만날 때면 으레 그렇듯 함께했던 추억 얘기에 시간 가는 줄 모릅니다.”
위 문장의 ‘으레 그렇듯’에서 ‘으레’는 '두말할 것 없이 당연히/틀림없이 언제나'를 뜻하는 말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으레’를 ‘으례’라고 알고 계시죠.
'으레'와 헷갈려하는 '으례'는 없는 단어입니다. 아마도 '의례(儀禮)'와 헷갈려하는 것으로 추정하는데, '의례'란 '의식'의 다른 말로 '행사를 치르는 일정한 법식'을 뜻하기 때문에 그 의미로 인해 더 그런 것 같습니다.
‘으레’와 관련해 알아두어야 할 점은 ‘으레’가 ‘의례(儀禮)’가 아닌 ‘의례(依例)에서 비롯한 말이라는 것입니다.
같은 ‘의례’지만 한자표기가 다르죠. ‘의례(依例)’는 ‘전례에 의하다’라는 뜻인데요. 말 그대로 ‘전부터 있던 사례 또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일 처리의 관습에 의하다’는 뜻입니다.
의례에서 ‘으례’가 되었던 것이, ‘례’의 발음이 ‘레’로 바뀌었고, 지금의 표준어인 ‘으레’가 되었습니다. 이것은 표준어 사정 원칙 제10항에 의해 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은 것인데요. ‘으레’말고도 ‘괴퍅하다’가 ‘괴팍하다’로 바뀐 것이나 ‘미류(美柳) 나무’가 ‘미루나루’가 된 것도 이와 같은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으레’와 ‘으례’. 이제는 더 이상 헷갈려하지 말자고요.
오늘도 도움이 되셨나요? 우리말 재미있죠?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각 포털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구글+에서 '행복사냥이'를 검색하시면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신공] 허구헌(?) 허구한(?) 날 일해 봐야 본전이네. (20) | 2019.02.06 |
---|---|
[맞춤법신공] 욱여와 우겨의 뜻을 구분하시나요? (12) | 2019.02.03 |
[맞춤법신공] 개거품? 게거품?을 물고 달려드는 녀석을 피했다. (20) | 2019.02.01 |
[맞춤법신공] 거 봐요. 사단? 났네, 사달? 났어. (18) | 2019.01.31 |
[맞춤법신공] 2019년?연?도 우리 모두 행복해요. (20) | 2019.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