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길라잡이 맞춤법
욱여와 우겨 구분하기
한글 맞춤법 길라잡이
우겨? 욱여? 맞는 표현 알아보기
어린 시절의 보았던 예식의 모습은 지금과 달랐습니다. 잘 차려져 있는 뷔페가 아니라 손님이 자리에 앉으면 한 상을 차려주는 모습이었죠. 특별한 음식을 먹을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던 시절인지라 주말 예식이 있는 날이면 부모님 손을 잡고 어김없이 원정길을 나섰습니다.
양지머리 육수에 잘 말아서 내 온 잔치국수를 입안에 ‘욱여넣던’ 그 때의 행복감이 지금도 떠오릅니다. 앉은 자리에서 2그릇 이상은 뚝딱 해치웠었죠.
오늘 알아볼 표현은 ‘우겨 넣다’와 ‘욱여넣다’입니다. 입안에 ‘욱여넣던’이라고 표현한 부분을 유심히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우겨 넣다’라는 표현은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쓸 수 없는 표현입니다.
왜냐면 ‘우기다’는 ‘억지를 부려 제 의견을 고집스럽게 내세우다’라는 뜻이거든요.
‘주장이 끝까지 옳다고 우기는 경우’는 있어도 입안에 ‘우기는 경우’는 없습니다.
반면, ‘욱여넣다’는 ‘물체가 안쪽으로 우묵하게 휘어지다’라는 뜻의 ‘욱다’에 ‘넣다’가 결합된 말입니다. ‘욱다’의 타동사 ‘욱이다’와 ‘넣다’가 한 단어로 굳어져 쓰이고 있죠.
시간이 없어 급하게 음식을 입안에 넣을 때 ‘우겨 넣다’가 아닌 ‘욱여넣다’를 쓰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가방에 잡동사니를 쓸어 담아 ‘욱여넣을’ 때도 바로 이 ‘욱이다’를 씁니다.
‘우겨 넣는 것’과 ‘욱여넣는 것’ 무슨 차이가 있는지 아셨죠. ‘우기다’, ‘욱이다’ 이제는 헷갈리지 마세요.
오늘도 도움이 되셨나요? 우리말 재미있죠?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참고했습니다.
각 포털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구글+에서 '행복사냥이'를 검색하시면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마음| 여러분들은 제가 제시한 사진을 보면 어떤 것이 떠오르죠? 저는 발레를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아마도 지금 기분이 크게 영향을 줄 것 같은데요. 위 사진에서 표현하는 형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마음이 아름답다면 보이는 것도 아름답게 보일 것 같아요. 마을이 아름답고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신공] 홀몸(?)이 아닌 홑몸(?)으로 태어나다. (19) | 2019.02.07 |
---|---|
[맞춤법신공] 허구헌(?) 허구한(?) 날 일해 봐야 본전이네. (20) | 2019.02.06 |
[맞춤법신공] 당연히를 으례? 으레?로 써도 되나요? (16) | 2019.02.02 |
[맞춤법신공] 개거품? 게거품?을 물고 달려드는 녀석을 피했다. (20) | 2019.02.01 |
[맞춤법신공] 거 봐요. 사단? 났네, 사달? 났어. (18) | 2019.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