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길라잡이 맞춤법
동기와 동창
한글 맞춤법신공
'동기(同期)'와 '동창(
'입학 동기', '졸업 동기'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대학교육을 받은 남성들은 '입학 동기’와 ‘졸업 동기가 같은 경우가 드물죠.
언제부터 '동기(同期)'라는 표현이 입학', '졸업', '입사' 등과 결합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동기'라는 표현의 쓰임이 더 넓어진 것은 확실합니다.
'동기'와 비슷한 말로 '동창(同窓)', '동문(同門)’이 있습니다.
'동기(同期)'라는 표현은 '같은 시기에 같은 곳에서 교육 등을 함께 받은 사람'을 뜻하는 동기생(同期生)의 준말입니다.
반면에 '동창(同窓)'은 '같은 학교를 졸업한 사람'을 말합니다.
'동창회’라는 단어가 흔히 쓰이다 보니 '동창'이 으레 '같은 학교에서 같은 시기에 졸업한 사람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계신 분들이 많지만, 이 풀이에 의하면 졸업을 한 시기에 관계없이 같은 학교를 졸업한 사람은 모두 '동창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동창회’는 어떻게 불러야 옳은 표현일까요?
같은 시기와 같은 학교의 의미를 합한 '동기 동창회’ 적확한 표현입니다.
'동문(同門)’은 ‘한 스승에게서 함께 배운 사람. 또는 같은 학교를 나온 사람'을 뜻하는 '동문생(同門生)'의 준말입니다.
'문하생(門下生)'이라는 단어의 '문(門)’이 가리키는 뜻이 '스승'을 의미하기 때문에 본래 '동문의 뜻은 같은 스승에게 배운 사람을 말합니다.
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같은 학교를 나온 사람의 뜻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동기'와 '동창’, ‘동문'은 엄밀히 따지자면 그 뜻의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세월 따라 강산이 변하듯 그 단어들이 의미도 조금씩 변화하고 있습니다.
'동문'과 '동창의 의미가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것처럼요.
어려운 내용이지만 정확한 의미는 짚고 넘어가자는 생각을 '동기', '동창', '동문'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의 핵심
1. ‘동기(同期)'라는 표현은 '같은 시기에 같은 곳에서 교육 등을 함께 받은 사람’
2. '동창(
3. '동문(同門)'은 '한 스승에게서 함께 배운 사람. 지금에 와서는 같은 학교를 나온 사람이라는 '동창'의 뜻을 포함
각 포털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구글+에서 '행복사냥이'를 검색하시면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우리말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신공] 우리집 딸래미와 딸내미? (18) | 2018.10.29 |
---|---|
[맞춤법신공] 접질리다와 접지르다 맞는 표현은? (11) | 2018.10.27 |
[맞춤법신공] 목재와 목제 맞는 말은? (20) | 2018.10.24 |
[문장부호] 묶음표 중 소괄호( ) 사용하기 (18) | 2018.10.21 |
[맞춤법신공] 보존과 보전, 보호와 보우 (22) | 2018.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