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에서 답을 찾다.
관포지교(管鮑之交)
고전에서 답을 찾다.
자신을 알아주는 친구, 진정한 우정이다.
#관포지교 : 자신을 알아주는 친구 사이의 두터운 우정을 뜻한다.
한자풀이는
管 대롱 관 鮑 절인 어물 포 之 어조사 지 交 사귈 교
'관포지교' 한 번쯤은 들어봤을 유명한 고사성어입니다. 역시나 지난번에 말씀드렸던 '사기 관아열전'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중국 춘추시대 제(齊) 나라에 관중과 포숙아가 살았습니다. 두 사람은 죽마고우로 나이가 들어도 그 우정에는 변함이 없었는데, 그야말로 우정의 대명사라고 알려졌죠. 이런 우정이야 말로 서로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사정을 봐주며, 서로의 발전을 위해 보탬이 되는 정말 아름다운 우정을 말한다고 생각합니다.
* 죽마고우(竹馬故友) : 죽말을 타고 함께 놀던 친구라는 뜻, 오랜 벗
그렇다면 왜 이런 이야기가 나왔을까요? 이야기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관중과 포숙아는 어느 날 장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익금을 나눌 때마다 관중이 더 많은 몫을 가져갔는데 포숙아는 불평하지 않았죠. 관중이 자기보다 가난한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관중이 일을 실패할 경우 욕하지 않았습니다. 운에 따라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관중이 세 차례나 벼슬길에 나갔는데 계속 쫓겨났습니다. 포숙아는 관중을 모자란 사람이라고 비웃지 않고 아직까지 운이 닿지 않아 그런 것이라고 오히려 위로를 해줬습니다.
관중이 세 번이나 전장에서 도망쳐오자, 사람들이 겁쟁이라고 손가락질을 했는데,
포숙아는 "관중은 도망친 것이 아니고 늙은 어머님 걱정에 돌아온 것입니다."라고 관중 대신 대변해 주고 편을 들어주었습니다.
나중에 포숙아와 관중은 서로 다른 군주를 섬깁니다. 늘 그렇듯 반대세력은 죽고 말죠. 하필 관중이 섬기던 공자 규가 싸움에 지고 죽자, 감옥에 갇히고 맙니다. 포숙아가 섬긴 소백 공자가 왕이 되고 그 왕에게 관중을 추천합니다. 나중에 그 왕이 패권을 잡는데 이번에는 관중이 큰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관중의 유명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나를 낳아 준 이는 부모지만, 나를 알아준 이는 포숙이다."
여러분들은 관중인가요? 아니면 포숙아인가요?
또 다른 시각으로 포숙아 같은 친구가 있으신가요? 있다면 다행이지만, 없다면 주변을 다시 둘러보셔야겠습니다.ㅎ
결혼을 하셨다면, 그리 멀리 찾지 않으셔도 될 것 같네요.^^
오늘도 도움이 되셨나요? 사자성어 재미있죠?
모든 출처는 표준국어대사전, 다음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위키백과에서 참고했습니다.
각 포털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flipboard에서 '행복사냥이'를 검색하시면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관포지교| 관포지교가 우정을 이야기했다면, 사진 속에 계시는 노 부부께서는 대부분의 인생을 관포지교 하셨을 것 같습니다. 예산 수덕사 일주문에서 담아봤습니다.
'옛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古mail] 인생은 새옹지마(塞翁之馬) (7) | 2019.04.08 |
---|---|
[古mail] 죽마고우(竹馬故友) 어릴 적 친구 (8) | 2019.03.03 |
[古mail] 구사일생(九死一生) 눈 오는 날 살았다. (14) | 2019.02.17 |
[古mail] 불혹(不惑)은 마흔입니다. (18) | 2019.01.30 |
[古mail] 도원결의(桃園結義) 마~ 우리는 형제 아이가! (15) | 2019.01.24 |
댓글